미오냥이모저모
급여계산기 이용해보세요 본문
오늘은 급여계산기 이용방법에
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오늘은 수요일입니다.
7월이 시작한 지도
벌써 4일이나 되었네요. ㅎㅎ
장마와 태풍이 지나간 뒤라
하늘도 너무 맑고 날도 더워
제대로 된 여름을 보낼 수 있을 거 같아요.
생각보다 자신이 받고 있는 급여 실수령액이
어떻게 계산되는지 알아보시는 분들이
생각보다 많더라구요.
왜냐하면 4대 보험료율과
소득세 세율을 모르고 있기 때문이
아닐까 합니다.
참고로 근로자가 부담해야 하는
국민연금 보험료율은 4.5%,
건강보험 보험료율은 3.12%,
장기요양보험료율은 3.69%,
고용보험료율은 0.65%입니다.
그리고 근로소득세 세율은
과세표준에 따라 6% ~ 42%까지
세율이 다르게 적용된답니다.
이렇듯 위 세율들을 모르면
자신이 받고 있는 실수령액이
맞는지 틀린 지조차 확인이 불가능하죠?
하지만 요즘은 급여만 입력하면
대략적인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
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.
지금부터 급여계산기 이용방법에
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- 검색 사이트에서 사람인 연봉계산기를
검색한 뒤 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.
- 급여기준을 연봉에서 월급으로 바꾼 뒤
월 급여만 입력하면
4대 보험료와 소득세가 자동으로 계산되므로
예상 실수령액을 몇초만에 확인할 수 있답니다.
참고로 비과세 10만원 포함
월 급여가 330만원일 경우
월 예상 실수령액은 2,911,910원이며,
공제액 합계는 388,090원입니다.
정말 너무 간단하죠?
조금만 관심을 가지면
다양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으니
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.
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.
여기까지 급여계산기 이용방법에
대해 알아보았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