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오냥이모저모
퇴직연금 세금 알아보기 본문
오늘은 퇴직연금 세금 계산 방법에
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저는 작년에 퇴직연금을 받았었는데요.
분명 가입할 당시에는 중도인출 사유에
집을 살 때나 가족이 아플 때 등
몇 가지 사유가 있어서 가입을 했는데요.
뭐 법이 바뀌어서 db형은
아예 중도인출이 안된다고 하더라구요.
그래서 울며 겨자 먹기로
임시 퇴사를 해서
퇴직연금을 수령했었답니다.
그런데 퇴직연금 세금이 얼마나 되는지
감도 오지 않더라구요.
세금을 알아야 실수령액을 알 수 있는데 말이죠.
그래서 저는 은행에서
퇴직금을 받으면서
세금이 얼마고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알았는데요.
정확하진 않겠지만
대략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더라구요.
저는 몰라서 조금 답답했지만
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확인해 보시면
어떨까 합니다.
지금부터 퇴직연금 세금 계산 방법에
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- 검색 사이트에서 국세청을 검색한 뒤
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.
- 국세정보의 국세청프로그램을 클릭해주세요.
- 2018년 귀속 퇴직소득 세액계산 프로그램을
클릭해주세요.
- 화면 아래 관련자료 다운로드를
다운로드하세요.
- 화면설명 탭을 읽어본 뒤
기본사항 등 입력 탭을 클릭하셔서
입사일, 기산일, 퇴사일, 퇴직급여를 입력하면
퇴직연금 수령 시 세금이 얼마큼 되는지
퇴직소득 원천징수영수증 탭을 클릭하시면
확인할 수 있답니다.
혹시 몰라 작년 퇴직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
확인해보았는데요.
세금이 동일하네요. ㅎㅎ
저는 퇴직금을 확실히 알고 입력을 했기 때문에
100% 일치할 수밖에 없겠죠?
퇴직금을 대략적으로 알고 확인한 상태라면
세금이 100% 정확할 수는 없겠죠?
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.
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.
여기까지 퇴직연금 세금 계산 방법에
대해 알아보았습니다.